공무원 한국 근현대사 꿀팁 20
8. daum·naver 검색창에 제목을 쳐보세요.
*중-만달리, 상노대도, 부포리, 거창 임불리, 하화계리
만상에 부임한 중. 하하~ (상놈의 중) (중환자. 임블런스)
중 (만이 달려) (포부 커) (거만해)
꿀팁(암기법)
*양양 오산리(신)-백두산계 흑요석, 얼굴상, 화덕~, 最古 집터
(백두산 ↑) (얼굴 이뻥~) (화덕피자 食) (최고 좋은 집터) (흑진주 캤어) 신나게 양양! 오산지진 발생.
얼굴 성형. 신나게 양양! 오산부작용.
9.
*동삼동-일본산규슈 흑요석, 조개무지, 조몬
동상동생 (일본 흑요석 밀수) (조개 무지하게 食) (조금 몬나)
규수 흑반지.
*암사동(신 최대, 움집, 빗살, 도토리), 양양 지경리(신, 움집)
암자 (新型) (최대 커서 신나!) (빗 비치) (도토리같이 小)
좋은 움집apt 살아. 신나게 양양(자랑)! 지랄.
10.
*반달 돌칼(← 화북). 좁쌀(봉산 지탑리번개무늬, 평양 남경신, 청)
돌칼로 찔러. 화 북돋아.
봉지에 좁쌀·남경ㅍ 담아. (좁쌀 남편)
평양 男 좁쌀? 아임매. (평양 방문 신청)
봉지에 담아서 번개같이 사라져.
*볍씨(탄화미)-송국·흔암·화금리(최대 쌀 창고, 통신), 평양 남경, 나주 다시면
송일국 (흔하지 않은 세쌍둥이 탄생) (탄탄한 개인기)
최대 쌀? 화~ 금이다! 통신(급히 알려).
평양 男 볍씨(쌀밥) 小食. (볍씨 흔해)
쌀밥(볍씨) 나오니 입맛 다시네. (송흔이 다시 화남)
11.
*고성(신, 밭, 문암리, 동아시아 최초), 비봉리(통나무배, 패총)
들짐승 출몰. 밭에서 고성. 야, 샹! (고생문) (신문고)
동아줄 고문은 최초.
통나무배 비로봉 못 올라가.
비로봉에 웬 패총?
*농포동(여인상, 번개무늬~), 서포항(구~청, -동침신전~, 호신부, 난방~)
농염(포동포동)한 여인? 번개같이 눈 돌아가.
서로 포근하니 동침. (호~ 신부도 ○!)
난방. 서로 포근. 신나! (구청, 서포항 개발)
12.
*신-미사리, 가덕도, 온천 궁산리(뼈바늘, 가락바퀴, 번개무늬), 김해 수가리(빗살), 농경
미사리 경기장. 신나게 달려. (가덕도 신공항) (농경. 농심농신)
가락지 껴서 신나!
궁상떠는 人 (온천 못가) (뼈바늘로 바느질품) (싸구리 가락지 껴) (번개같이 일 나가)
김혜수 (신나!) (빗살로 머리~)
*울산 검단리(환호, 구멍무늬), 울진(얼굴 모양~), 가면(신, 동삼동, 옹진 소야도)
(울산 구멍에서 검은 석유 ↑) (劒 단련, 사부님) 환호!
얼굴 모양 울진 않아. (동상, 조개 가면 쓰고 놀아)
옹녀, 가면(화장) 쓰고 ♪소야곡 부르며 윙크.
신문지로 똥고 닦으면 농 나오고 암 오네.
13.
*제주 한경 고산리-가장 古, 이른, 덧, 눌러굴포리, 신빗살
이런 더 눌러 뱃살. (눌러서 고산 식물 小) (산 눌러 굴 파)
이른 아침에 제주 한라산 가장 오래된 고산 식물 캐러 ↑. 덧신등산화 신고. 신나!
신 (눌러봐) (빗살삼색 무늬)
14~15.
*양양 고성 문암리(이른, 눌러), 신(조몬), 청(민무늬의주, 예맥~, 야요이미생 ← 쌀농사)
이른 아침 출근. 고생문. (눌러? 시러~ 高聲 질러)
마누라가 이른 아침부터 양양잔소리! (신 조금 몬나)
청바지 입은 민며느리 (예뻐) (주의!) (야~ 요ㄴ!)
야, 요것이 (쌀!) (유명한 미생)
16.
*첨저형(서울 암사동), 평저형(양양), 흔암리청(구멍무늬, 화분 모양), 미송리식(의주요령, 집선 무늬)
서울 암자apt 첨단! (평지돈 산다고 양양!)
청동오리·구멍·화분 흔해.
미송나무 (주의해서 요령 있게 베) (밑에서 접선)
17.
*청동기-북방(스키토 시베리언, 비파형예맥~, 아연), 중국(주석)
시베리아에서 스키 타며 비파 뜯는 북청물장수.
비파 소리에 얘 맥 못 춰.
북한 핵실험 아연실색! (중국 모택동 주석)
18.
*동검-비파형(요령, B.C. 10C), 동주식(중국), 내몽골(오르도스식)
요령 있게 비파 뜯으며 10원만 줍쇼. 거리 악사.
오월동주. 중국.
내가 몽니 부리며 오르고 또 오르도다!
19.
*세형동검(후기)-철기, 한국식, 청천강~, 대동강~, 잔무늬 거울, 거푸집
철 안 든 양세형 잔머리 개그 거푸 발표. (후기나중엔 세련)
양세형 (한국인) (청청하게 ↑) (대동강 공연)
20. 꿀팁(암기법)
*고인돌-북방식(탁자식, 강화), 남방식(바둑판식, 고창, 화순)
북한을 대화의 탁자에~ (탁자에 강화유리)
남방셔츠 바둑판무늬. (남한 바둑 붐!) (강호ㅅ 고자)
댓글